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철갑(鐵甲)

서지사항
항목명철갑(鐵甲)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갑옷, 군기시(軍器寺), 군기감(軍器監), 백철갑(白鐵甲)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사용된 쇠로 만든 갑옷.

[내용]
조선시대 철갑은 주로 공철(貢鐵)에 의하여 수거된 철을 가지고 만드는데, 군기시(軍器寺) 혹은 군기감(軍器監)에서 각 도에 생산량을 책정하여 보내면 각 도에서 장인(匠人)들에게 월과법(月課法)에 의하여 생산토록 하여 중앙에 상납하는 체제로 이루어진다. 철갑은 실제로 전투의 과정에서 효력을 보이기도 하지만 의장대의 진열에서 무장의 복장으로 이용되어 조회(朝會) 시에 흰색으로 채색을 한 백철갑(白鐵甲)을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세종대에는 납염철갑(鑞染鐵甲), 쇄자철갑(鏁子鐵甲) 등을 제조·사용했던 기록이 보인다.

[용례]
豐海道都觀察使 請儲軍器衣甲 以備不虞 從之啓曰 各官所儲紙甲掩心 造作年久 過半不用如有防禦 軍容虛疎 道內三鎭打造月課鐵甲頭具 乞除上納 各於其鎭貯藏 遇有及時防禦事 分給鎭屬軍官及兵船 以備不虞之患[『태종실록』 7년 9월 27일]

■ [집필자] 박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