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별기대(別騎隊)

서지사항
항목명별기대(別騎隊)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훈련도감(訓鍊都監), 금위영(禁衛營)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 군영(軍營)에 소속되어 입직(入直) 등을 담당하던 병종(兵種).

[내용]
처음에는 훈련도감(訓鍊都監)의 마군(馬軍)과 보군(步軍)의 군병(軍兵) 중에서 무과에 급제한 자를 뽑아서 설치하였다. 좌사(左司)의 전초(前哨)에 속하게 하고서 목사(牧使)와 부사(府使)를 지낸 사람을 골라서 초관(哨官)으로 임명하여 통솔하도록 했다. 즉 일반 군병 가운데 무과에 급제한 자를 구분하기 위해 특별히 설치하였다. 『만기요람(萬機要覽)』에 의하면 초관 1명이 별기대 2명과 마병 53명을 영솔하여 남영(南營)에 입직하도록 했다고 한다. 그 뒤에 금위영(禁衛營) 등에도 설치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1811년(순조 11) 평안도 농민전쟁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하기도 했다.

[용례]
皇壇守直 以皇朝人子孫中 定爲三窠 稱號守直官 令兵曹擬望差出 牙兵等稱號漢旅 仍定三十額 屬于訓局 節制挨次 用龍虎營之禁旅 鎭撫營之義旅壯旅 立番供役 用訓局之局出身 禁營之別騎隊 祭享時奉神榻 設饌撤饌等事 以代忠義之擧行 以此岐遷 轉於守直官 守直官定瓜限 則因其窠加一資[『정조실록』 14년 3월 19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속대전(續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만기요람(萬機要覽)』
■ 『홍재전서(弘齋全書)』
■ 車文燮, 『朝鮮時代軍制硏究』, 檀國大學校出版部, 1973.

■ [집필자] 윤훈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