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마상편곤(馬上鞭棍)

서지사항
항목명마상편곤(馬上鞭棍)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마편곤(馬鞭棍)
관련어편곤(鞭棍)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24반(般) 무예의 마상무예 중 하나로 말 탄 무사가 도리깨 모양의 편곤을 가지고 하는 무예 또는 무기.

[내용]
조선시대의 24반(般) 무예의 하나로 갑옷과 투구 차림에 칼과 동개를 차고 말을 탄 무사가 편곤을 이용하여 겨루는 무예이다. 『무예도보통지』에 편의 길이는 6척 5촌, 그 끝에 달린 자편(子鞭)의 길이는 1척 6촌이라 하였다.

[용례]
武藝圖譜通志成 (중략) 英宗己巳 莊獻世子代理庶政 歲己卯 命增入竹長鎗旗鎗銳刀倭劒交戰月挾刀雙劒提督劒本國劒拳法鞭棍十二技 纂修圖解 作爲新譜 上卽阼初 命增騎槍馬上月刀馬上雙劒馬上鞭棍四技 又以擊毬馬上才附之 凡二十四技[『정조실록』 14년 4월 29일]

[참고문헌]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국사편찬위원회 편,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경인문화사, 2008.
■ 김산, 『무예도보통지 長兵武藝 복원의 실제와 비판』,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근채,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정과 무예사적 가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임동권, 『한국의 마상무예』,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7.
■ 임동규, 『한국의 전통무예 : 24반 무예를 중심으로』, 학민사, 1990.
■ 김산·김주화, 「무예도보통지의 勢에 대한 연구」, 『체육사학회지』l-13, 2004.

■ [집필자] 박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