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내용]
마상월도는 월도의 일종으로 대체로 청룡도 또는 청룡언월도라고도 하며, 『무예도보통지』권3 「마상월도」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월도는 칼날이 반달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와 유사한 칼이 여러 종류 있는데, 대표적으로 미첨도(眉尖刀)·봉취도(鳳嘴刀)·굴도(屈刀)·방도(方刀) 등이 있다. 미첨도는 눈썹처럼 뾰족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봉취도는 봉의 부리를 닮았고, 굴도는 머리가 굽은 것이며, 방도는 앞부분이 모가 난 칼을 말한다. 월도는 크게 보병월도와 마상월도로 나눌 수 있다. 마상월도의 칼 길이는 2척 8촌, 칼자루 길이는 6척 4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