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명의(明衣)

서지사항
항목명명의(明衣)
용어구분용어용례
하위어상(裳)
관련어목욕(沐浴)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시신을 목욕 시킨 후 입히는 옷.

[내용]
시신을 향탕(香湯)으로 씻긴 후 수건으로 몸을 닦고 난 다음 입히는 옷이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보면, 명의는 백초로 만든 홑옷이며, 내상(內喪)일 때에는 의(衣)와 상(裳)을 갖춘다고 하였다.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는 의와 상은 백초(白綃)를 쓰고 소매는 속폭(屬幅)을 쓴다고 하였다. 속폭이라는 것은 폭을 잘라내지 않는 것인데, 옛사람들은 포(布)의 폭을 2자 2치로 하여 좌우 가장자리를 각각 1치씩 잘라내고 사용하였다. 의는 별도의 깃은 없으나 대금의 형태이고 뒷고대가 붙어 있다. 의의 길이는 무릎을 지나고 상은 앞을 3폭, 뒤를 4폭으로 하는데 주름을 잡지 않는다. 길이는 발의 끝인 곡(觳)에 미치게 하는데 별도의 백초를 써서 앞뒤 폭을 연결하고, 그것을 끼워서 바느질하여, 둘을 곧게 매달려 있게 한다고 하였다.


[용례]
下令于許頊曰 閉門之故 針線婢不得入 明衣未造云 以衣次入內 則使內人縫用何如 回達曰 沐浴與襲 皆有定時 不可徑行 以衣次入內 似爲未安 敢達[『선조실록』 41년 2월 1일].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집필자] 이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