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회색의(灰色衣)

서지사항
항목명회색의(灰色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상복(喪服)
하위어심염회색의(深染灰色衣)
관련어담복(禫服), 담제(禫祭), 대상(大祥), 오사모(烏紗帽), 흑각대(黑角帶)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세자를 비롯하여 종친·문무백관·군주(郡主)·별감(別監)·소친시(小親侍) 등이 대상(大祥)에서 담제(禫祭)까지 입는 회색 옷.

[내용]
회색의는 담복(禫服)에 해당한다. 회색의는 대상일에 연복(練服)을 갖추고 뜰에 들어와, 꿇어 앉아 부복하였다가 곡(哭)을 마치고 나가서 갈아입는 옷이다.

[용례]
議政府據禮曹呈啓 (중략) 今更詳定 自祥至禫前 著深染灰色衣烏紗帽黑角帶[『세종실록』 28년 8월 26일].

■ [집필자] 이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