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무석인(武石人)

서지사항
항목명무석인(武石人)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무석(武石), 무인석(武人石), 장군석(將軍石)
관련어마석(馬石), 문석인(文石人)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능(陵)·원(園)·묘(墓)의 봉분(封墳) 앞에 조성한 무관(武官) 복장의 석인(石人).

[내용]
통일신라 왕릉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는 석인상은 문인과 무인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지만 쇠방망이를 들고 있는 석인상을 무석인으로 본다. 갑주(甲冑)를 입고 칼을 쥐거나 잡고 있는 무석인이 등장한 것은 고려 공민왕(恭愍王)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의 능인 현릉(玄陵)·정릉(正陵)이 처음이다. 건원릉(健元陵)과 헌릉(獻陵)의 무석인은 공민왕릉과 마찬가지로 복발형의 투구를 쓰고 모가리개가 가려져 있는 형상이다.

무석인은 갑주를 입고 양손으로 검(劍)을 잡고 있는 형상으로 조각되는데 이는 국상(國喪) 때의 문무백관을 형상화한 것이다. 무석인은 중계(中階)에 석마(石馬)와 함께 1쌍으로 조성되어 서로 마주 보게 배치한다. 무석인의 규모는 각 능 원 묘마다 차이가 있으나 허리에 칼집을 차고, 손으로는 칼끝을 아래로 한 검을 잡고 있는 양식은 모두 동일하다.


[용례]
禮葬都監回啓曰 (중략) 文石人象 著冠帶 執笏之狀 武石人象 著甲冑 佩劍之狀 此乃國喪象文武百官之制也[『인조실록』 4년 2월 3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경기도박물관, 『경기 묘제 석조 미술』(조선후기 해설편 下), 경기도박물관, 2008.

■ [집필자] 정해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