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선무공신(宣武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선무공신(宣武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 효충장의선무공신(效忠仗義宣武功臣)
관련어임진왜란(壬辰倭亂), 삼대첩(三大捷)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임진왜란 중 한산대첩·진주대첩·행주대첩 등에서 승전한 공로로 선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592년(선조 25)에 발발한 임진왜란은 1598년(선조 31) 왜적이 완전 철수할 때까지 7년에 걸쳐 지속되었다. 그 기간 동안 조선이 거둔 최대 승리인 한산대첩·진주대첩·행주대첩 등의 3대첩의 주역을 책봉한 공신이었다.

1604년(선조 37) 6월 25일에 책봉된 선무공신은 18명으로서, 1등은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이라 하였는데 이순신·권율·원균 등 3명이었다.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이라 불린 2등은 신점·권응수·김시민 등 5명이었고, 효충장의선무공신(效忠仗義宣武功臣)이라 불린 3등은 정기원·권협·유충원 등 10명이었다.

[용례]
其宣武一等 李舜臣權慄元均三大將 爲効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二等 申點權應銖金時敏李廷馣李億祺 爲効忠仗義協力宣武功臣 三等 鄭期遠權悏柳思瑗高彦伯李光岳趙儆權俊李純信奇孝謹李雲龍 爲効忠仗義宣武功臣 各賜爵封君 凡十八人[『선조실록』 37년 6월 25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