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위성공신(衛聖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위성공신(衛聖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 갈충진성동덕찬모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衛聖功臣), 갈충진성위성공신(竭忠盡誠衛聖功臣)
관련어분조(分朝)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임진왜란 중 광해군의 항전활동을 보좌한 공로로 광해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임진왜란 당시 분조(分朝)를 운영하던 광해군을 도운 공로로 책봉된 공신이었다. 모두 80명으로, 1613년(광해군 5) 5월에 책봉되었다. 1등은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이라 하였는데 최홍원·윤두수·정탁 등 10명이었다. 갈충진성동덕찬모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衛聖功臣)이라 불린 2등은 이헌국·유희림·이유중 등 17명이었으며, 갈충진성위성공신(竭忠盡誠衛聖功臣)이라 불린 3등은 이순인·유정립·이원 등 53명이었다. 위성공신은 인조반정 이후 삭제되었다.

[용례]
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 二等減佐運二字 三等減同德贊謨佐運六字 一等十人 二等十七人 三等五十三人[『광해군일기』 5년 3월 12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