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사공신(靖社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정사공신(靖社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 분충찬모입기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靖社功臣), 분충찬모정사공신(奮忠贊謨靖社功臣)
관련어인조반정(仁祖反正)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인조반정에서 광해군을 축출한 공로로 인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623년(광해군 15) 3월 12일 한밤중에 능양군·김류·이귀 등이 주동한 반정군이 거병하여 광해군을 축출하였다. 반정에 성공한 능양군은 서궁으로 인목대비를 찾아가 그곳에서 즉위식을 올렸다. 인조가 되는 능양군이 왕위에 오르면서 대북파는 철저히 숙청되었으며, 그 자리는 능양군을 추대한 서인들이 채웠다. 이후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300년 가까이 조선의 중앙정계는 서인들이 주도하였다. 그 원류가 되는 사람들이 바로 1623년(인조 1) 윤10월에 정사공신으로 책봉된 52명의 공신이었다. 1등은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이라 하였으며 김류·이귀·김자점 등 9명이었다. 분충찬모입기정사공신(奮忠贊謨立紀靖社功臣)이라 불린 2등은 이괄·김경징·신경인 등 16명이었으며 분충찬모정사공신(奮忠贊謨靖社功臣)이라 불린 3등은 박유명·한교·송영망 등 27명이었다.

[용례]
命招大臣及大提學 定勳號曰 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인조실록』 1년 윤10월 25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