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진무공신(振武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진무공신(振武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정공신(正功臣), 정훈공신(正勳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관련어이괄(李适)의 난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이괄의 난을 진압한 공로로 인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624년(인조 2) 1월 21일 이괄이 반정 뒤 이루어진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다. 영변에서 군사반란을 일으킨 이괄은 12,000여 병력을 이끌고 한양으로 진군하여 2월 10일에는 한양을 점령하고 흥안군을 새 임금으로 추대하였다. 그러나 2월 11일 남대문과 서대문 바깥 사이의 안현 전투에서 패배한 이괄은 한양 밖으로 탈출하였다가 13일 밤에 이천에서 부하들에게 살해당하였다.

3월 8일에 인조는 이괄의 난을 진압한 진무공신 27명을 책봉하였는데, 1등은 장만·정충신·남이흥 등 3명이었다. 2등은 이수일·변흡·유효걸 등 8명이었으며 3등은 신경원·김완·이식 등 16명이었다.

[용례]
策振武功臣二十七人 以張晩鄭忠信南以興爲一等 超三資 李守一邊潝柳孝傑金慶雲李希健趙時俊朴瑺成大勳爲二等 超二資 申景瑗金完李愼李休復宋德榮崔應一金良彦金泰屹吳珀崔應水池繼崔李洛李慶禎李澤李靖安夢尹爲三等 加一資[『인조실록』 2년 3월 8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