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부사공신(扶社功臣)

서지사항
항목명부사공신(扶社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동의어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
관련어삼급수(三急手), 임인역옥(壬寅逆獄), 노론(老論) 4대신(四大臣)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경종대 삼급수로 경종을 시해 또는 폐위하려 했다는 음모를 고변한 공로로 책봉된 공신.

[내용]
1722년(경종 2) 3월 27일에 목호룡이 경종에게 고변서를 올렸다. 삼급수, 즉 칼이나 독약으로 경종을 시해하거나 또는 경종을 폐위하려는 역적들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계기로 노론 4대신과 170여 명의 노론들이 죽음을 당하거나 처벌되었다. 노론 4대신이란 이건명·이이명·김창집·조태채를 말하였다. 이해가 임인년이었으므로 이 사건을 임인역옥이라고 하였다. 임인역옥이 일단락된 1723년(경종 3) 3월에 경종은 다른 공신들이 모두 사양하는 바람에 고변자 목호룡 1명만을 공신에 책봉하였다. 정식 명칭은 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이었는데 줄여서 부사공신이라고 하였다.

부사공신은 연잉군, 즉 영조가 왕위에 오른 후 삭제되었다. 영조는 즉위 4개월 후에 김일경과 목호룡을 체포하여 임인역옥을 재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임인역옥은 조작된 것으로 결론 나고 목호룡은 역적으로 죽음을 당하였다. 반대로 경종대 역적으로 처단되었던 노론 4대신을 비롯한 노론들은 신원되었다.

[용례]
以睦虎龍 爲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東城君[『경종수정실록』 3년 2월 23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당의통략(黨議通略)』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