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사공신(定社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정사공신(定社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정공신(正功臣), 정훈공신(正勳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관련어왕자의 난(王子-亂)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정도전 등을 제거한 공로로 정종대와 태종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직후에 태조 이성계의 둘째아들 방과가 세자에 책봉되었다가 9월 5일에 내선(內禪)을 받아 정종이 되었다. 정종이 왕이 된 지 12일 후인 9월 17일에 29명의 정사공신이 책봉되었다. 1등공신은 이방원을 비롯하여 익안대군 이방의·회안대군 이방간 등 12명이었고 2등공신은 이숙번·민무구 등 17명이었다. 그러나 제2차 왕자의 난과 태종대의 외척 숙청으로 11명이 공신에서 삭제되고 18명만 정사공신으로 남게 되었다.

[용례]
上與我殿下 論第定社功臣[『정종실록』 즉위년 9월 17일]

[참고문헌]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정두희, 『조선초기 정치지배세력연구』, 일조각, 1983.
■ 김윤주, 「조선 초 공신책봉과 개국·정사·좌명공신의 정치적 동향」, 『한국사학보』 35, 2009.
■ 박천식, 「조선 개국공신에 대한 고찰-책봉 과정과 대우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1, 1977.
■ 한영우, 「조선 개국공신의 출신에 대한 연구」,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을유문화사, 198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