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중앙 관아에서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적으로 지방관아에 직접 내려보내는 공문.
[내용]
동등한 관부 상호 간에 혹은 상급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려보내는 공문을 고려에서 태조대까지 출납(出納)이라고 하다가, 태종대부터 관(關)으로 바꿨다. 관자(關子)나 관문(關文)이라고도 하였다. 『경국대전』에 서식이 확정되었고, 육조·의정부를 거쳐야 하였다.
그런데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몰래 직접 내려보내는 공문을 직관(直關)이라고 하였다. 중앙 관아, 왕실 궁방, 내수사 등에서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 위해, 토지를 마련하기 위해, 노비를 확보하기 위해, 도망간 노비를 찾기 위해 지방에 직관을 무분별하게 남발하였다. 이로 인해 규정 외 부담이 늘어났고, 납기일에 임박하여 내려오는 경우가 빈번하여 민폐가 가중되었다. 이에 영조(英祖)는 경각사(京各司)에서 외방에 직관하는 것을 금하여 『속대전』에 명문화하였다. 그러나 내수사 같은 일부 기관은 계속하여 직관을 하였고, 비밀을 요하는 포도청의 범인 체포와 시급을 요하는 동래·의주의 국경 사정을 예외로 두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