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차수고(差需庫)

서지사항
항목명차수고(差需庫)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차수청(差需廳)
관련어민고(民庫), 여진(女眞), 함경도(咸鏡道), 북관개시(北關開市)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에 함경도에서 개시를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

[내용]
조선후기 함경도의 회령(會寧)과 경원(慶源)에서는 청의 만주 지역과 정기적인 국경무역인 북관개시(北關開市)가 열렸다. 북관개시는 만주 지역 여진인의 생필품을 조달하기 위하여 청(淸)이 요구한 것으로 병자호란 직후인 1638년(인조 16)에 시작되었다. 회령개시는 1년에 1번, 경원개시는 2년에 1번 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지만, 만주 지역이 개발되면서 두 개시는 활기를 띠었다.

개시가 열리면 인솔관원인 차인(差人)이 주민과 우마를 이끌고 들어와 최고 20일간 교역을 하였다. 이들이 들어오면 두만강 연안 고을에서는 무역 물종, 관원 숙식, 우마 사료, 예단을 제공해야 하였다. 바로 이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두만강 연안 고을에서는 차수고(差需庫)를 설치하여 고리대나 민간징렴 등으로 재원을 조달하였다.

[용례]
關北御史事目曰 咸鏡一道 (중략) 沿江各邑之差需庫 全爲開市所需而設置者也 米布之名色多岐 斂散之式例累變 其間必有奸弊 各別摘奸申飭[『정조실록』 7년 10월 29일]

[참고문헌]
■ 『함경도회원개시정례별편(咸鏡道會源開市定例別編)』
■ 고승희, 『조선후기 함경도 상업 연구』, 국학자료원, 2003.

■ [집필자] 김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