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조선후기 평안도와 황해도의 각 고을에서 칙사 왕래에 소요되는 비용을 담당하는 기관.
[내용]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사신을 칙사(勅使)라고 하였다. 청나라 사신의 경우 매년 3차례 정도 들어왔는데, 그때마다 예단·연회·접대·운송 등으로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었다. 예단이나 연회는 중앙의 호조에서 책임지지만, 접대나 운송은 이동하는 경로에 있는 고을의 책임이었다. 따라서 칙사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해 있는 평안도·황해도·경기도 북부 고을에서는 칙수고(勅需庫)를 설립하여 칙사 지대비를 조달하였다.
칙수고는 관과 민을 모두 편하게 한다는 것을 명분으로 숙종대에 등장하였지만, 방대한 재원을 부실하게 운영하여 민폐를 끼치고 있었다. 이에 영조대에 『속대전』을 제정하면서 “평안도 각 읍에 있는 칙고의 재고는 회계를 마감하여 비변사에 보고하되, 만일 사채·가분·나이·번작 등의 일이 있으면 수령·감관 및 색리는 대동사목례에 따라 논죄한다.”고 하여 중앙 통제를 강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