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결역(結役)

서지사항
항목명결역(結役)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결렴(結斂), 잡역세(雜役稅), 호역(戶役)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민호가 소유한 전결에 부과한 잡역세.

[내용]
조선후기 민간의 조세 부담은 전세·군역세·환곡세의 삼정(三政)으로 대표되었다. 삼정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지방의 군현 차원에서 별도로 거둔 조세는 잡역세였다. 잡역세의 세원은 전결과 호(戶)였으며, 따라서 결렴(結斂)·호렴(戶斂)으로 불렸다. 남부 지방에서는 결렴이, 서북 지방에서는 호렴이 많았다. 대개는 2가지 방식을 함께 적용하였다.

결렴, 곧 결역(結役)은 정규의 전세 외에 추가로 징수하는 것으로서, 거두는 액수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호렴에서는 양반을 포함한 전체 호에 부과하는 경우도 있으나, 특별한 것은 양반호를 제외한 민호만이 그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대동법이 제정된 때부터, 산릉역(山陵役)이나 조사역(詔使役) 등 국가적인 역사뿐 아니라 군현에서의 각종 읍역(邑役)이 대동세에 포함되지 않았다. 영송쇄마가(迎送刷馬價), 곧 지방 관료의 부임과 귀환에 필요한 경비가 결역으로 조달되었다든지, 관용의 치계(雉鷄)·시목(柴木)·곡초(穀草)·빙정(氷丁) 등이 결역으로 조달되는 일 등이 그러한 예였다.

[용례]
決金吾滯囚 罷全羅監司徐命九 上以務安前縣監李克祿片竹價米 旣徵於結役 又捧於戶役 施告身三等律 又以監司襲謬例許題 罷其職 [『영조실록』 30년 윤4월 23일]

[참고문헌]
■ 김용섭, 『增補版 韓國近代農業史硏究』 上, 일조각, 1984.
■ 김덕진, 「朝鮮後期 雜役의 分定」, 『全南史學』 11. 1997.

■ [집필자] 윤용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