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창정(倉正)

서지사항
항목명창정(倉正)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창정위전(倉正位田)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창고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임무를 맡은 유역인.

[내용]
창정(倉正)은 각 고을 소재의 창고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은 유역인(有役人)으로, 역에 종사하는 대가로 창정위전(倉正位田)을 절급받았으나, 1445년(세종 27) 7월의 전제개혁(田制改革) 때 병정(兵正)·창정(倉正)·옥정(獄正)·객사정(客舍正)·국고직(國庫直)·지장위전(紙匠位田)과 함께 혁파되었다.

[용례]
議政府據戶曹呈申 今田制改詳定事及可革條件 磨勘後錄 (중략) 京畿各官人吏位田 每一結稅二斗 納廣興倉 忠淸全羅慶尙江原黃海道各官人吏位田 每五結內 二結屬廣興倉 三結爲口分 然廣興納二結之稅六十斗 每年不足 以口分充之 位田有名而無實 況他艱苦軍役之人 亦皆無位田 今悉革之 兵正倉正獄正客舍正國庫直及紙匠位田 亦竝革之 (중략) 從之[『세종실록』 27년 7월 13일]

■ [집필자] 이장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