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전형(田形)

서지사항
항목명전형(田形)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양전(量田)
분야경제
유형법제 정책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전지(田地)가 배치된 모양.

[내용]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전지의 모양은 네모반듯하게 생긴 전지[方田]·반듯하면서 긴 모양의 전지[直田]·위쪽은 넓으나 아래쪽이 좁은 모양의 전지[梯田]·위쪽은 뾰족하면서 아래쪽은 넓은 모양의 전지[圭田]·굽은 모양의 전지[句股田]로 구분되었다.

[용례]
右議政申槪議 從初或之說 將已行貢法 更驗田品等第田形圓經尺寸之制 可廣者廣之 可狹者狹之 稅之輕重 更加詳定 且凡事 等級截然懸絶 則雖大姦巨猾 不能騁其奸謀矣 今年分九等 過爲纖悉 等級相近 奸之幸也 奸吏弄法 誠如初或之說 須當更議[『세종실록』 26년 6월 6일]

[참고문헌]
■ 『만기요람(萬機要覽)』

■ [집필자] 이장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