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혜릉(惠陵)

서지사항
항목명혜릉(惠陵)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능원(陵園)
동의어단의빈묘(端懿嬪墓)
관련어경종(景宗), 단릉(單陵), 단의빈(端懿嬪), 동구릉(東九陵), 명릉(明陵), 소현묘(昭賢墓), 의릉(懿陵)
분야왕실
유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端懿王后) 심씨(沈氏)의 능.

[개설]
동구릉의 하나로, 숭릉(崇陵) 왼쪽 산등성이에 자리하고 있다. 단의왕후는 1696년(숙종 22) 11세의 나이에 세자빈으로 간택되었으며, 경종이 등극하기 전인 1718년(숙종 44) 2월 7일에 세상을 떠났다. 그해 3월 8일에 시호를 ‘단의’라 하였는데, 그에 따라 묘소도 단의빈묘로 조성되었다. 그 뒤 1720년(경종 즉위)에 경종이 즉위하여 단의왕후로 추봉하고 능호를 혜릉이라 하였다[『경종실록』 즉위년 6월 15일].

[조성 경위]
1718년(숙종 44) 2월 7일에 세자빈이 승하하자, 이튿날 빈궁도감(殯宮都監)·예장도감(禮葬都監)·원소도감(園所都監) 등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1645년(인조 23)에 있은 소현세자(昭顯世子)의 국상을 전례로 삼아 원(園)의 제도로 하지 않고, 모두 ‘묘(墓)’ 자로 수정함에 따라 원소도감은 묘소도감(墓所都監)으로 변경되었다. 마찬가지로 수원관(守園官)과 시원관(侍園官)도 수묘관(守墓官)과 시묘관(侍墓官)으로 바뀌었다.

세자빈의 국휼에 대한 전례를 찾기 어려워 1441년(세종 23)에 있었던 문종의 비 세자빈 권씨의 국휼을 상고하기도 했으나, 내상(內喪)에 대한 등록을 첨가하여 상제(喪制)를 결정하였다.

묘소의 간심은 선왕들의 능 주변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경릉(敬陵) 내 명릉(明陵)과 익릉(翼陵) 사이에 있는 언덕과 순릉(順陵)의 좌측 계좌, 자좌 언덕 등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결국 양주에 위치한 숭릉의 청룡 밖으로 결정하였다. 묘(墓)의 제도는 능상 석물은 소현묘(昭顯墓)를 따르되, 양석(羊石)·마석(馬石)·석인(石人)·혼유석 등의 규격은 모두 명릉의 체제를 따랐다.

[조성 상황]
혜릉은 숭릉의 왼쪽에 동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능침은 병풍석 없이 난간석만 12칸으로 둘렀으며, 주변에는 양석(羊石)과 호석(虎石)을 밖을 향하도록 둥글게 배치하였다. 봉분의 남쪽에 혼유석을 놓았고, 장명등 1개와 망주석(望柱石) 1쌍을 두었다. 그 앞에는 문무인석(文武人石) 각 1쌍과 마석(馬石) 2쌍을 배치하였다.

한국전쟁으로 홍살문과 정자각이 소실되고 주춧돌만 남았는데, 1995년에 중건하였다. 현재는 정전 3칸에 배위청 2칸의 정자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북쪽에는 비각이 있고, 동쪽에는 홍살문이 있다.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에는 수복방이 위치해 있다.

[관련 사항]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흉례」에 실린 국휼의 복제 가운데 빈궁의 상에 대한 규정은 모두 1718년에 단의빈의 상례를 행하면서 정한 의례를 기준으로 하였다.

혜릉은 원래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仁穆王后)의 능호였다. 1632년(인조 10) 6월 28일에 인목왕후가 승하하자, 7월 7일에 능호를 혜릉이라 하고 전호를 효사(孝思)라 하였다. 인목왕후의 능침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동원이강으로 조성된 목릉(穆陵)에 언덕을 달리하여 합부되는 형식으로 마련되었다. 그러나 언덕이 다른데도 세조의 능과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능을 모두 광릉(光陵)이라 부르는 전례에 따라, 정자각을 합하여 설치하고 인목왕후의 능호 또한 목릉으로 바꾸도록 하였다[『인조실록』 10년 8월 14일].

[참고문헌]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단의빈상장등록(端懿嬪喪葬謄錄)』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능묘』,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 [집필자] 신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