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노론(老論)

서지사항
항목명노론(老論)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서인(西人)
하위어호론(湖論), 낙론(洛論)
동의어노당(老黨)
관련어소론(少論), 노서(老西), 소서(少西), 청서(淸西), 공서(功西), 산당(山黨), 한당(漢黨), 낙당(洛黨), 원당(原黨), 경신환국(庚申換局), 경신처분(庚申處分), 신임옥사(辛壬獄事)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붕당의 하나.

[개설]
노론은 조선후기 숙종 초반 서인(西人) 내에서 분파된 붕당의 하나이다. 분당된 후 소론과 공존 관계를 유지하다가 숙종대 후반 『가례원류(家禮源流)』 시비와 병신처분(丙申處分)으로 정국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경종 연간에 발생한 신임옥사(辛壬獄事)를 거치며 소론과 대립하는 과정에서 많은 희생을 경험하였다. 영조대 경신처분으로 소론에 대해 정치적 우위에서 정국을 주도하였다. 이 시기 노론 내에서 호론과 낙론으로 분리되었으며, 주로 낙론의 우위 속에서 정치와 학계를 주도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선조대 초반에 동인과 서인으로 붕당이 형성된 후,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분당되었으나, 서인은 이후에도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물론 서인 주도하에 이루어진 인조반정 이후에 노서(老西)·소서(少西) 혹은 청서(淸西)·공서(功西) 등의 계파가 형성되거나, 인조 말년에는 산당(山黨)·한당(漢黨)·낙당(洛黨)·원당(原黨) 등의 계파가 형성되면서 분열 조짐이 있기도 했다.

서인이 붕당의 모습인 노론과 소론으로 분당된 직접적인 계기는 숙종 초인 1680년(숙종 6)에 있었던 경신환국(庚申換局)부터 1682년에 있었던 임술고변(壬戌告變)에 이르는 일련의 사건이었다. 이들 사건은 남인에서 서인으로 정권이 교체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인데, 이 과정에서 훈척 계열인 김석주와 김익훈 등 일부 인물의 탈법 행위가 문제가 되었다. 특히 남인들의 역모 사건을 고변한 임술고변은 김익훈의 무고(誣告)로 판정되었다.

이에 김익훈의 처벌을 놓고 서인 내부에서 논란이 발생하였으며, 결국 노론과 소론의 분당으로 이어졌다. 서인계 중진들은 대체로 그들 행위의 탈법성을 인정하면서도 공로를 인정해 처벌을 반대하였다. 여기에 송시열 역시 김익훈이 스승인 김장생의 손자라는 점을 들어 그를 옹호하였다[『숙종실록』 9년 1월 19일]. 반면 대간(臺諫)에 포진해 있으면서 청론(淸論)을 주장하였던 일부 서인들은 김익훈과 김석주의 처벌을 주장하였다[『숙종보궐정오실록』 9년 2월 2일]. 전자가 노론, 후자가 소론으로 명색을 갖게 되었다. 당시 노론 계열로는 송시열·김석주를 중심으로 이선(李選)·이수언(李秀彦)·이이명(李頤命)·이여(李畬) 등 서인 내 중진 계열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이처럼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당된 것은 훈척 세력에 대한 상이한 입장으로 나타난 것이었다.

분당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고변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시간이 흘렀다. 이런 와중에 1684년 송시열의 문인이었던 최신(崔愼)의 윤증 비난 상소를 시작으로 송시열·윤증의 회니시비(懷尼是非)가 조정에까지 비화되면서 송시열을 지지하는 세력과 윤증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뉘어 대립하면서 분당을 고착화시켰다.

한편 이 시기 서인의 노·소론 분당은 비단 정치적 이유에 그치지 않고 학문 방법이나 내용의 차이도 영향을 미쳤다. 노론 측은 주자학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면서 대명 의리론(大明義理論)과 반청(反淸)적 북벌론을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소론 측에서는 노론 측의 주자학 절대화에 이견을 제시하면서 일부에서는 탈주자학적 학문 경향을 보였다.

[변천]
숙종 초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당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이 발생하여 서인에서 남인으로 정권이 교체되는 등 양자 간의 대립은 노골화되지 않았다.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다시 정권을 잡은 서인들 사이에서 남인 세력과 희빈장씨의 처리 문제를 놓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대립이 있었으나 숙종의 탕평책으로 공존하였다.

그러나 숙종대 후반 『가례원류(家禮源流)』 시비와 병신처분(丙申處分), 즉 송시열과 윤증의 대립에서 숙종이 송시열이 옳다고 판정한 처분을 거치면서 소론 세력이 한때 퇴조하고 노론 세력이 권력을 주도하였다[『숙종실록』 42년 12월 29일]. 그런 상황에서 이루어진 정유독대(丁酉獨對), 즉 숙종이 사관을 배제한 채 이이명만을 불러 비밀히 논의한 일과 세자 대리청정의 명령은 연로한 숙종의 후계 문제를 둘러싸고 내재되어 온 의혹을 깊게 하였다[『숙종실록』 43년 7월 19일] [『숙종실록』 43년 7월 19일]. 동시에 지금까지 학문을 둘러싼 시비[斯文是非] 위주로 전개되어 오던 노론과 소론 간의 대립이 왕위 계승 문제를 중심으로 한 충역(忠逆) 논쟁으로 변질되면서 살육이 자행되었다.

숙종이 승하하고 경종이 즉위한 뒤 노론 측은 왕세제 책봉과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추진하였으나, 대리청정 시도는 소론에 의해 좌절되었다. 또한 1722년(경종 2) 노론 측이 삼급수(三急手), 즉 노론이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해 경종을 시해하려고 했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발생한 임인옥사의 처리 과정에서 노론 사대신인 김창집·이건명·이이명·조태채를 비롯해 많은 노론 계열 인사들이 참변을 당하였다[『경종실록』 2년 3월 27일].

신임옥사를 거치며 많은 피해를 당한 노론 세력은 영조가 즉위하면서 다시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노론의 소론에 대한 보복으로 정국이 혼란스러워지자 영조는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을 단행하여, 다시 소론을 불러들였다. 그리고 동시에 노론과 소론 내 완론(緩論) 계열을 중심으로 탕평파를 육성하였다.

영조는 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하는 가운데, 자신과 자신을 지지했던 노론에게 주어진 경종의 죽음과 관련된 혐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수시로 노론 세력들을 불러들여 탕평파를 견제하면서 결국 1741년 경신처분(庚申處分)을 통해 혐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었다[『영조실록』 16년 1월 10일]. 이는 노론들의 출사(出仕)를 유도하게 되어, 이전까지 정치에 참여하지 않았던 노론 내 일부가 정치에 참여하였다.

경신처분 이후 노론 명분의 우위 속에서, 탕평파와 함께 정치에 참여한 노론 계열 일부가 정국을 주도하였다. 이후 영조대 후반에 노론 계열의 외척이 정국을 주도하는 가운데 사도세자 문제를 둘러싸고 같은 노론 계열 내 외척인 홍봉한 계열과 김구주 계열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였다. 이런 와중에 노론 내 청론을 자처하는 세력들은 청명당을 결성하여 외척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정조대에는 외척 세력들이 퇴조를 보이는 가운데 노론 내 청론들이 정조의 측근 세력으로 대두하며 정치를 주도하였다.

한편 18세기 전반에는 노론을 중심으로 사상적인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 즉 호락논쟁(湖洛論爭)이 발생하는데,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과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 간의 이 논쟁을 거치면서 노론은 호론과 낙론으로 분기되었다. 호론은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는데, 주로 송시열 → 권상하 →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충청도 지역 노론들이 중심이 되었다. 이에 비해 낙론은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는데, 주로 김창집 → 이재(李縡) → 김원행 계열로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 지역 출신의 노론들이 중심이 되었다.

이 논쟁은 비단 성리설을 둘러싼 논쟁에 그치지 않고, 각각 상이한 정치적 입장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것이 탕평에 대한 입장이다. 호론은 16세기 후반 이래 붕당론인 군자소인론(君子小人論)을 계승하며 탕평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낙론은 탕평 자체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으면서도 그 방법에서 탕평파와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이들 중 낙론이 18세기 중반 이후 우위를 점하였다. 호론 계열의 경우 한원진의 문하에서 김한구 → 김구주로 이어지는 벽파 세력이 나와 순조대 이후 시파 세력에 의해 몰락하였다. 반면 낙론은 영조대부터 노론 내 청론을 자처하면서 정치에 참여하였고, 정조대에는 정조의 친위 관료로서 대두하여 활발한 진출을 하였다. 그리고 순조대 이후에는 시파로서 세도가나 문벌 관료로 성장하였다.

한원진 계열의 호론 중 송시열의 적손들인 송능상이나 송환기 등이 호론에 남아 산림의 명맥을 유지하는 반면 권상하의 후손인 권진응은 낙론에 합류하였다. 송시열의 후손과 송준길의 후손은 문묘종사(文廟從祀) 때 송시열과 송준길의 선후를 두고 논쟁을 벌이면서 서로 등지게 되었다. 급기야 송준길의 후손인 송명흠이나 송문흠이 낙론인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순조대 세도 정치하에서는 노론 계열의 안동김씨 김조순 가문과 풍양조씨 조만영 가문이 외척 가문으로 부상하면서 정치를 주도하였다. 단, 두 가문 사이에서는 일정한 견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당의통략(黨議通略)』
■ 유봉학, 『연암 일파 북학 사상 연구』, 일지사, 1995.
■ 이은순, 『조선 후기 당쟁사 연구』, 일조각, 1988.
■ 김용흠, 「숙종대 전반 회니 시비와 탕평론: 윤선거·윤증의 논리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148, 2010.
■ 이상식, 「숙종 초기의 왕권 안정책과 경신환국」, 『조선시대사학보』33, 2005.
■ 이상식, 「숙종대 보사공신의 녹훈 과정과 사회적 관계망 분석」, 『한국사연구』155, 2011.
■ 정만조, 「영조대 초반의 탕평책과 탕평파의 활동: 탕평 기반의 성립에 이르기까지」, 『진단학보』56, 1983.
■ 조준호, 「조선 후기 노론의 정치사상과 경세론」, 『한국 유학 사상 대계 6: 정치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2007.

■ [집필자] 이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