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향청(鄕廳)

서지사항
항목명향청(鄕廳)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유향소(留鄕所), 향소(鄕所)
분야사회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전기 유향소의 조선후기 이름.

[개설]
조선전기 지방의 유향품관(留鄕品官)들의 자치 기구적 성격이 강하였던 유향소(留鄕所)가 조선후기에 수령의 보좌 기구로 변질되면서 향소(鄕所) 혹은 향청(鄕廳)이라는 용어로 많이 쓰였다. 이는 유향소의 성격과 위상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유향소의 설치 목적은 향리(鄕吏)를 규찰하고 향풍(鄕風)을 바르게 하는 등 향촌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유향소가 점차 폐단이 많아지고 수령과도 충돌하는 등 문제가 되자 유향소는 여러 차례 설치와 폐지를 거듭하였다. 그 뒤 사림파(士林派)의 향촌 질서 확립을 위한 대책으로써 유향소는 향사례(鄕射禮)·향음주례(鄕飮酒禮)를 실시하는 등 자치 기구로서 기능하였다.

1603년(선조 36) 경재소(京在所)의 혁파로 유향소의 우두머리인 좌수(座首)에 대한 임명권이 수령에게 넘어가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유향소도 그 성격이 크게 달라져 수령 휘하에서 수령을 보좌하는 행정 실무의 일부를 집행하는 기구가 되었다. 효종대에는 「영장사목(營將事目)」에서 좌수를 그 지역의 군역(軍役) 징발 책임자로 규정하자 유향소는 더욱 그 지위가 격하되었다. 결국 유향소는 수령의 직무를 보조하는 일개 사역 기구로 전락하고 그에 따라 명칭도 향소 또는 향청으로 불리게 되었다.

[변천]
조선후기에는 향청이 하나의 향촌 기구가 되어 향교의 교임(校任)들과 다투기도 하고[『숙종실록』 13년 12월 19일] [『숙종실록』 37년 9월 24일], 향리들의 근무지인 작청(作廳)향권(鄕權)을 두고 자주 다투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김용덕, 『향청(鄕廳) 연구』, 한국연구원, 1978.
■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 김인걸, 「조선 후기 향권의 추이와 지배층 동향: 충청도 목천현 사례」, 『한국문화』2, 1981.
■ 이태진, 「사림파의 유향소 복립 운동(上): 조선 초기 성리학 정착의 사회적 배경」, 『진단학보』34, 1972.
■ 이태진, 「사림파의 유향소 복립 운동(下): 조선 초기 성리학 정착의 사회적 배경」, 『진단학보』35, 1973.
■ 이태진, 「조선 전기의 향촌 질서: 성리학적 질서의 확립을 중심으로」, 『동아문화』13, 1976.
■ 전형택, 「17세기 담양의 향회와 향소」, 『한국사연구』64, 1989.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