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사후선(伺候船)

서지사항
항목명사후선(伺候船)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수영(水營), 범로선(帆櫓船), 타공(舵工), 격군(格軍)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후기 수영(水營)에 부속되었던 정찰선.

[내용]
사후선은 전투함·무장선에 부속되어 있는 비무장 소형 선박으로서, 적의 동정을 파악하기 위해 정찰하거나 탐색하는 용도로 활용되었다. 그 형태는 소형의 돛과 키를 갖춘 범로선(帆櫓船)으로서 임진왜란 중에 출현하여 그 후에 이름이 나타난 군선이다. 정원은 타공(舵工) 1명, 격군(格軍) 4명이다.

[용례]
領議政金尙喆啓言 (중략) 今若陞爲僉使 秩視防禦 統率五鎭 操鍊守備等節 一如前日之爲 則戰船防軍 不可不具 而當此良丁極難之時 防軍充定 非所可論 依古今島等四鎭例 戰船改造以船 儲置米會減 船上什物及兵防伺候船新備改槊物力 以本道 每年入送江都添餉錢一千兩 移給格浦 使之補助[『정조실록』 4년 8월 9일]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여암전서(旅菴全書)』
■ 김재근, 『조선왕조 군선연구』, 일조각, 1982.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