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방술(方術)

서지사항
항목명방술(方術)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방술가(方術家), 술사(術士)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방사(方士), 술사(術士), 도사(道士) 등이 부리는 술법(術法)을 이르는 말.

[내용]
방술(方術)은 원래 일을 처리하는 방법과 기술을 의미하는데, 특히 유교 이외의 이단을 통칭하는 말로 쓰였다. 즉 사람의 운명과 미래를 예견하는 복서(卜筮)와 점험(占驗),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의술, 음양오행과 지리설로써 화복을 주장하는 풍수지리설이나 음양술, 그리고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신선술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용례]
弘文館副提學安處良等來啓曰 臣等前日上疏 陳風俗之弊及崔灝元語涉誕妄不宜兵曹 至今未得聞命 (중략) 處良等對曰 灝元雖出身文科 然素尙方術 以是士類不齒 在先王朝 亦以術士待之 而不以士大夫遇之也 六曹 百司之長 而吏兵曹乃政曹也 其選尤重 非灝元所當居也 典翰鄭誠謹曰 灝元 心術不正 自以術士處己 非特士林嗤之 雖挾冊之儒 皆知其不正[『성종실록』 16년 1월 6일]

■ [집필자] 김철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