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신상(神像)

서지사항
항목명신상(神像)
용어구분용어용례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신령의 모습을 인격화(人格化)하여 형상화(形象化)한 것.

[내용]
민간신앙에서 모셔지는 신상(神像)으로는 성황신, 무속의 신령 그리고 조상(祖上)을 상징화한 것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성황신이 가장 많다. 신상의 종류에는 종이나 천에 그림으로 그려 도상화(圖上化)한 화상(畵像)과, 특정 재료를 조각하거나 손으로 빚어 조형화한 입체형으로 나뉜다. 신상은 입체형 숫자가 가장 많아, 신상을 말할 때는 곧 입체형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용례]
全州城隍位板 書曰 全州府城隍之神 版位之後 安神像凡五 永樂十一年六月日 禮曹受敎 山川城隍之神 只留神主一位 皆題木牌 其像設 一皆撤去 以正祀典 今此像設 亦宜撤去[『세종실록』 12년 8월 6일]

[참고문헌]
■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 최진아,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집필자] 최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