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태극장(太極章)

서지사항
항목명태극장(太極章)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훈장(勳章)
관련어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자응장(紫鷹章), 팔괘장(八卦章), 훈장조례(勳章條例)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1900년 4월 칙령 제13호로 제정된 훈장의 하나.

[개설]
대한제국에서는 1900년(광무 4)에 칙령 제13호로 ‘훈장조례’를 반포하면서 훈장제도를 제정하였다. 태극장은 대훈위이화대수정장 아래에 있는 것으로, 그 훈격은 훈 1등에서 훈 8등까지로 구분되며, 문무관 중에서 공훈에 따라 수여하였다.

[연원 및 변천]
태극장의 훈등(勳等)은 훈(勳)에 해당하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아래에 있으며, 1등에서 8등까지의 등차를 두었고, 문무관 중에서 공훈에 따라 수여하였다. 태극장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가장 먼저 수여되었으며, 대한제국기 동안 총 980건이 수여되었다.

[형태]
훈장의 형태는 1등의 문채가 금질(金質)로 되어 있으며 지름이 2치 5푼(약 7.5㎝)이다. 그 중앙에는 청홍색의 태극이 있고 길고 짧은 백색 광선이 여덟 방향으로 뻗어나간다. 꼭지는 재질이 금질로 백색 오얏꽃과 녹색의 세 잎으로 고리를 연결하였다. 오얏잎 뒷면에 ‘훈공일등’이라고 훈등을 전서체로 새겨놓았다.

수(綬)는 대수(大綬)로서 너비가 3치 5푼(약 10.5㎝)이고 붉은색 바탕에 푸른색으로 두 줄을 넣었다. 대수는 양 끝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달고 그 밑으로 문채를 연결하여 드리운다.

2등장은 1등부장(副章)을 겸하고, 수는 달지 않고 다만 패침(佩針)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이등장은 금은 재질로서 지름이 3치(약 9㎝)이며 그 중앙의 태극은 청홍색, 광선은 2중 백색이며 뒷면에는 은질 패침이 있다. 3등장은 2등부장을 겸하고 지름이 1치 8푼(약 5.5㎝)이다. 4~6등장의 지름은 1치 6푼(약 4.8㎝)이며, 7~8등장의 지름은 1치(약 3㎝)이다. 3~5등까지는 금이나 6등 이하는 은으로 만들었다. 중앙의 문채는 3등 이하가 동일하고 수도 마찬가지이다. 3등 이하의 너비는 1치이지만, 다만 3등이 중수(中綬)이고 4등 이하가 소수(小綬)이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패용법으로 1등장은 정부장으로서, 정장은 대수로서 대훈위와 같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2등장의 정장은 패침으로 왼쪽 가슴에 달고, 부장은 중수로서 목 아래에 드리운다. 3등도 중수로서 목 아래에 드리우며, 4~8등의 장은 소수로서 왼쪽 가슴에 달며, 약수는 1등에서 8등까지 왼쪽 옷깃에 단다.

[참고문헌]
■ 『대한제국관보(大韓帝國官報)』
■ 이강칠,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자료원, 1999.

■ [집필자] 목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