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성벽 위에 석재 또는 벽돌로 쌓아 올려 망루(望樓)와 포루(砲樓)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누대(樓臺).
[내용]
돈대의 형태는 원형과 방형 두 가지가 있으며, 내부에는 2~3단의 마루를 만들고 외부를 향한 벽면에 각 층마다 작은 안혈(眼穴)을 내어 대포·총·화살을 쏠 수 있도록 하였다. 돈대 설치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곳곳에서 나타난다. 1679년(숙종 5) 병조 판서 김석주(金錫冑)의 건의에 따라 강화에 48개소의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여지도서』에 그 명칭과 함께 위치가 그려져 있다. 1796년 완공된 수원성 성곽의 서북·남·동북의 세 곳에 돈대가 설치되었는데, 이를 공심돈(空心墩)이라 불렀으며, 수원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시설물이다. 현재는 서북 공심돈만이 남아 있다. 이러한 공심돈은 서양 중세 봉건제후 성의 일부인 탑과 유사한데 수원성 성역에 참여했던 정약용이 「기기도설(奇器圖說)」을 연구한 것으로 미루어 서양 성곽을 본뜬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