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마골지(麻骨紙)

서지사항
항목명마골지(麻骨紙)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책지(冊紙)
관련어고정지(藁精紙), 모절지(麰節紙), 유목지(柳木紙), 책지(冊紙)
분야교육 출판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껍질을 벗긴 삼대와 닥나무를 혼합하여 만든 종이.

[내용]
1434년(세종 16)에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인쇄하기 위해 조지서(造紙署) 및 전국에 종이를 만들 것을 명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종이가 삼대[麻骨] 등을 닥나무와 혼합한 마골지이다. 삼대 등의 단섬유와 닥나무 등의 장섬유를 5:1로 혼합하면 귀한 닥나무를 적게 쓰고도 질기면서도 책을 박기 적합한 종이가 되었다.

마골지의 생산지는 충청도 지역이었다. 1450년(문종 4) 각 지역에서 책지(冊紙)를 진상할 때 경상도에서 모절지(麰節紙)·유목지(柳木紙), 전라도에서 고정지(藁精紙)·유목지, 충청도에서 마골지, 강원도에서 유목지를 진상하였다. 마골지는 15세기 이전까지 사용되다가 이후에는 없어졌다.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에 세종 때에 고정지·유엽지(柳葉紙)·유목지·의이지(薏苡紙)·마골지·순왜지(純倭紙) 등 매우 정교하고 서책 인출에 좋은 종이들이 있었으나 고정지와 유목지 이외에는 모두 사라졌다고 기록하였다.

[용례]
前縣監李云卿上書曰 外方進上冊紙 設都會所造之 其楮與軍人 分定各官 聚於都會所 累月立役 父子兄弟 齎糧代立 往來艱甚 臣願 進上冊紙 令京中造紙所造之 各品受賜冊紙 限五六年蠲減 以歇民生 (중략) 乃下傳旨于禮曹曰 前此一年 進上各色冊紙 慶尙道六千五百卷 全羅道四千五百卷 忠淸江原道各二千卷 自今每年 慶尙道進麰節柳木紙各二千卷 全羅道蒿精柳木紙各二千卷 忠淸道麻骨紙一千卷 江原道柳木紙一千卷 其餘竝皆蠲減[『문종실록』 즉위년 10월 10일].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 [집필자] 손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