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흥리왜인(興利倭人)

서지사항
항목명흥리왜인(興利倭人)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왜인(倭人), 삼포왜인(三浦倭人), 삼포항거왜(三浦恒居倭), 삼포항거왜인(三浦恒居倭人), 항거왜(恒居倭), 항거왜인(恒居倭人)
동의어상왜(商倭), 상판왜인(商販倭人), 판매왜인(販賣倭人), 흥판왜인(興販倭人)
관련어사송왜인(使送倭人), 상고(商賈), 상판(商販), 일본객인(日本客人), 흥판(興販)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교역을 목적으로 조선에 건너오는 일본인.

[내용]
흥리선(興利船) 또는 흥리왜선(興利倭船)을 타고 건너오는 일본인은 주로 대마도 어민으로, 자기가 잡거나 생산한 어염(魚鹽)을 싣고 와서, 자기들이 먹을 미곡과 교역하였다.

[용례]
自願向化海邊各郡分處倭人 與興利倭人 往來無禁 亂雜言說 將來可慮 乞於陸地遠處移置[『태종실록』 7년 7월 27일]

[참고문헌]
■ 長節子, 『中世國境海域の倭と朝鮮』, 吉川弘文館, 2002.

■ [집필자] 김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