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비정기적인 사절로, 중국 황제가 병이 들거나, 원지(遠地)를 순행(巡行)하거나, 황제가 친히 원정할 때에 문안하기 위하여 파견된 사절.
[내용]
조선은 명나라 제후국의 위치에서 명나라 조정에 부정기적으로 사신을 보내어 문안하였다. 국초에는 명 황제가 병이 들거나, 원지를 순행할 때라든지, 황제가 원정할 때에 흠문기거사(欽問起居使)가 파견되었다. 조선전기에 명나라에 파견된 흠문기거사는 태종대 6회, 세종대 2회 등인데, 이 시기에 파견된 흠문기거사는 대체로 공녀(貢女)의 인친(姻親)을 선발하여 보냈다.
조선후기 청나라에 흠문기거사가 파견된 경우는 주로 청나라 황제가 자기 선조의 분묘가 있던 성경(盛京), 즉 봉천(奉天)에 행행(行幸)하였을 때이다. 이곳은 조선과 가까운 곳이므로 문안하기 위해서 흠문기거사가 행재소로 파견되었다. 이 흠문기거사행 또는 문안사는 정사를 1품관으로 하는 일품행(一品行)으로 서장관만 두고 부사(副使)가 없는 단사(單使)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