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내용]
조선은 개국 초 고려의 8위(八衛)와 의흥친군좌위(義興親軍左衛)와 의흥친군우위(義興親軍右衛)를 합하여 10위의 중앙군 조직을 갖추었다. 이후 1394년(태조 3)에 10위를 10사(十司)로 개칭하였고, 1418년(태종 18)에는 12사로 증설해 왕궁의 시위에 치중하였다. 1451년(문종 1)에는 전시와 평시의 군사체제의 일원화를 위하여 12사를 5사로 개편하였으며, 1457년(세조 3)에는 5사를 5위(衛)로 개칭하면서 5위 제도가 성립되었다.
5위(衛) 병제 안에서 후위(後衛)는 오위진법의 군사훈련 대형의 맨 뒤에 배치되기에 붙여진 명칭이다. 후위(後衛)의 편성은 중앙군의 충순위(忠順衛), 정병(正兵), 장용위(壯勇衛)와 지방군으로 중부(中部)에 영안도 북청 진관군사, 좌부(左部)에 갑산 진관군사 삼수·혜산진 군사, 우부(右部) 온성·경원·경흥 진관군사 유원·미전·훈융진 군사, 좌부(左部)에 경성·부령·회령·종성 진관군사 고령·동관진 군사, 후부(後部)에 영흥·안변 진관군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