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후릉(厚陵)

서지사항
항목명후릉(厚陵)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능원(陵園)
관련어사릉(思陵), 장릉(莊陵), 흥교사(興敎寺)
분야왕실
유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 정종과 비 정안왕후(定安王后) 김씨(金氏)의 능.

[개설]
후릉은 시신을 모시는 현궁이 석실로 된 쌍릉이다. 석실로 만들고 그 위에 각각의 봉분을 얹은 쌍릉이다. 오늘날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흥교면 흥교리 백마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능직(陵直)권무(權務) 2명, 수호군(守護軍) 40호를 두었으며, 호마다 밭 2결을 주어 관리하게 하였다.

[조성 경위]
1412년(태종 12)에 정안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송경(松京) 해풍군(海豐郡) 백마산 기슭에 안장하고 능호를 후릉이라 하였다. 산릉의 공역은 조선초기에 왕실 공역을 주로 담당했던 박자청(朴子靑)이 맡아보았다.

정종은 산릉 조성 후 정안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능의 서쪽에 있던 흥교사(興敎寺)를 혁파하지 않고 재궁으로 삼았으며 선종(禪宗)에 붙여 밭 250결을 주었다. 1419년(세종 1)에는 정종이 승하하였는데, 합장해 달라는 유언에 따라 영역(瑩域)의 흙을 바꾸고 함께 묻어 쌍분을 조성했다.

[조성 상황]
후릉은 조선초기의 풍습에 따라 석실로 조성되었다. 정종이 승하한 뒤 합장하여 쌍분을 만들고 주변에 돌난간을 둘렀으며, 봉분 뒤쪽에는 곡장(曲墻)을 세웠다. 봉분 맨 앞쪽 상단 계체석(階砌石)에는 혼유석 2기와 양석 및 호석을 번갈아 배치하였다. 중계(中階)에는 석등 2기, 문인석 2쌍과 마석 2쌍을, 하계(下階)에는 무인석 2쌍과 마석 2쌍을 두었고, 중계와 하계의 동서에 각각 작은 돌층계를 설치하였다.

[변천]
조선시대의 왕릉은 봉토분이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봉분이 내려앉는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왕실에서는 정기적으로 능상(陵上)을 보수했는데, 이는 후릉도 다르지 않았다. 능상을 보수한 일 외에 후릉의 개수(改修)는 크게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먼저 1544년(중종 39)에 화재로 불타 버린 정자각을 다시 지었다. 1666년(현종 7)에는 봉분과 석물의 개수를 논의했으나[『현종실록』 7년 10월 26일], 봉분 내에 문제가 있으면 공역이 커질 것을 염려하여 상석(象石) 및 석물만 보수하였다. 마지막으로 1755년(영조 31)에는 비석이 세워지지 않은 이전의 왕릉과 더불어 비석과 비각이 세워졌다.

후릉은 북한에 있어서 오늘날의 모습을 상세히 알 수 없다. 다만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펴낸 『가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풀어쓴 후릉수개도감의궤』에 따르면, 봉분과 상설(象設)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정자각은 초석만 남아 있는 상태라고 한다.

[관련 사항]
후릉은 왕릉 중에서 석물이 가장 간략하다는 이유에서, 1698년(숙종 24) 노산군(魯山君)을 단종으로 복위시키고 그 묘를 장릉(莊陵)이라 하여 다시 조성할 때 그 의절(儀節)의 예가 되었다.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가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풀어쓴 후릉수개도감의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 [집필자] 정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