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황장목(黃腸木)

서지사항
항목명황장목(黃腸木)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금강소나무
관련어재궁(梓宮)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재궁(梓宮)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소나무의 속고갱이.

[내용]
속이 노랗다고 하여 황장(黃腸)이며, 금강소나무로도 불린다. 천자와 제후의 곽을 제작할 때 반드시 고갱이를 쓴 것은 그 고갱이가 단단하여서 오래 지나도 썩지 않는 반면, 흰 갓재목[白邊]은 습한 것을 견디지 못하여 속히 썩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백변을 쓰지 말고 황장을 연폭(連幅)하여 조성하게 하였다. 이 황장목은 현실(玄室)의 재궁을 안치하는 자리의 평상으로도 쓰였다. 황장목의 조달을 위해 조선에서는 강릉이나 영해 등 몇몇 지역을 벌목을 금지하는 봉산(封山)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였다.

[용례]
江原道黃腸木濫伐人 進告者及擲奸人等 事干拿來憑閱事 傳敎矣[『중종실록』 36년 6월 10일]

■ [집필자] 임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