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호성공신(扈聖功臣)

서지사항
항목명호성공신(扈聖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 충근정량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力扈聖功臣),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
관련어의주 파천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임진왜란 중 선조의 의주 파천을 수행한 공로로 선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인 1604년(선조 37) 6월 25일에, 한양에서 의주까지 자신의 파천을 수행하였던 종친과 신료들을 호성공신에 책봉하였다. 호성공신은 총 86명으로서 1등은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이라 하였는데 이항복·정곤수 등 2명이었다. 충근정량효절협력호성공신(忠勤貞亮效節協力扈聖功臣)이라 불린 2등은 이원익·윤두수·윤근수 등 31명이었으며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이라 불린 3등은 정탁·이헌국·유희림 등 53명이었다.

[용례]
大封功名 以自京城至義州 終始隨駕者 爲扈聖功臣 分爲三等 錫號有差 以征倭諸將及請兵糧使臣 爲宣武功臣 分三等 錫號有差 以討平李夢鶴 爲淸難功臣 分三等 錫號有差 其扈聖一等李恒福鄭崐壽 爲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선조실록』 37년 6월 25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징비록(懲毖錄)』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당의통략(黨議通略)』
■ 『약포집(藥圃集)』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