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헌납(獻納)은 고려후기 도첨의사사 소속으로 설치되었다가 조선으로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헌납은 사간원의 정5품 관직으로, 정원은 1명이다. 모두 문관(文官)을 썼고 재능과 명망, 문벌이 모두 우수한 자를 엄히 가려서 임명하였다. 성종대에 헌납으로 재직한 인물은 총 30명으로 이 가운데 문과 합격자가 29명이고 1명은 분명하지 않다. 헌납의 아버지가 역임한 관직이나 헌납의 최종 관직에 관한 통계를 보면, 헌납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청요직으로서 판서나 정승으로 가는 관문임을 알 수 있다. 헌납 위로는 정3품 대사간(大司諫)과 종3품 사간(司諫)이 각각 1명씩 있었고, 아래로는 정6품 정언(正言) 2명이 있었다. 1401년(태종 1) 설치되어 『경국대전』에 명문화되면서 조선말까지 계승되었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사간원이 혁파되면서 소멸되었다.
[담당 직무]
헌납은 사간원의 간관(諫官)으로서 왕에게 간쟁·봉박(封駁)하는 일을 주로 맡았다. 그러나 실제 임무는 이에 제한되지 않았다. 사간원의 다른 관료, 사헌부(司憲府)·홍문관(弘文館)의 관료와 함께 간쟁·탄핵·시정(時政)·인사 등에 대한 언론과 경연(經筵)·서연(書筵)에도 참여하였다. 이 외에 인사 문제와 법률 제정에 대한 서경권(署經權)을 가졌고, 국문(鞫問)·결송(決訟) 등에도 참여하였다. 왕과 자주 접촉하는 직무 성격 때문에 직급에 비해 정치적 영향력이 컸다.
[변천]
고려후기 도첨의사사 소속의 좌·우헌납으로 설치되었으며, 이후 헌납은 사간 등으로 개칭되다가 조선으로 계승되었다. 1392년(태조 1) 문하부 소속으로 정5품의 좌·우보궐 각 1인씩이 설치되었다. 1401년 관제 개혁 때, 조선초부터 있었던 문하부(門下府)의 낭사 벼슬인 정5품 보궐(補闕)의 이름을 고쳐 헌납이라 하였다. 문하부가 의정부로 흡수되고 낭사가 사간원으로 분리 독립할 때 개칭된 것이다. 문하부의 좌·우보궐 직제를 계승하여 처음에는 좌·우헌납 각 1명씩을 두었으나, 후에 1명으로 줄였다. 이후 『경국대전』과 『대전회통』에는 정원이 1인으로 명시되어 있다. 1506년(연산군 12) 연산군이 사간원을 혁파하며 잠시 혁파(→폐지)되었으나, 곧이어 중종반정으로 중종이 즉위하면서 다시 설치되어 조선말까지 유지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사간원이 혁파되면서 헌납도 소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