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행장(行狀)

서지사항
항목명행장(行狀)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문체(文體), 전기(傳記)
동의어인술(引述), 행략(行略)
관련어장(狀), 전(傳), 묘비문(墓碑文), 시호(諡號)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묘비문이나 시호를 청할 때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고인의 일생 사적을 상세하게 적은 글.

[개설]
행장(行狀)은 본래 한 사람의 일생 동안의 행적을 기록하는 전기체(傳記體)에 속한다. 다만, 묘비문(墓碑文)이나 시호(諡號)를 청할 때 이용된다는 점에서 실용성이 강하고, 또 서사와 기술이 극히 상세하다는 특징이 있다.

[내용 및 특징]
‘장(狀)’은 전(傳)과 비슷하지만, 그 기능은 다르다. 명나라 오눌(吳訥)의 『문장변체(文章辨體)』와 서사증(徐師曾)의 『문체명변(文體明辯)』에서 전과 장에 대해 논한 것을 종합하면, 전은 덕행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았거나 혹은 천한 사람일지라도 본받을 만한 점이 있을 때 그들을 드러내어 본받고 경계하도록 사대부들이 지은 것이다. 그에 비해 장은 문생이나 오랜 친구가 그의 행업(行業)을 조목조목 적어 사관에게 올리거나, 혹은 명(銘)·지(誌)를 구하려고 지은 것이다.

[변천]
가장 이른 시기의 행장으로는 한나라 때에 호간(胡干)이 지은 「양지백행장(楊之伯行狀)」이 있다. 또 행장 중의 명편으로는 당나라 유종원의 「단태위일사장(段太尉逸事狀」을 들 수 있다. 일사장은 행장의 변체로, 일사 즉 세상에 전해지지 않은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사(正史)에 제한되지 않고 도리어 재료 선택과 가공이 자유롭다. 행장은 또 인술(引述)이나 행략(行略)이라 칭하기도 한다.

행장의 변화 가운데 특이한 점으로는 송나라 때 이후부터 돌아가신 어머니의 행장을 기록하는 풍조가 형성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돌아가신 어머니, 즉 선비(先妣)의 행장이 하나의 문체로 성립되었다. 선비행장은 묘지명을 의뢰하기 위해 만든 경우도 있지만, 묘지명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자식으로서의 감정과 추억을 드러내는 경우도 많았다. 그 뒤 원나라와 명나라 때는 선비행장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명나라 말기의 문학가 귀유광의 「선비사략」은 그러한 풍조 속에서 나온 작품인데, 다른 어떤 선비행장보다도 문학성이 풍부하다. 그런 까닭에 청나라의 문학가 요내(姚鼐)는 『고문사류찬』의 전장류에 이 작품을 특별히 선별해 넣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돌아가신 어머니의 행장을 짓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사대부 가문에서는 집안 여성의 삶을 후손들에게 알리기 위해 내의(內儀)를 작성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15년 1월 4일]. 조선시대 후기에는 여성을 위한 행장이 차츰 늘어났다. 1762년(영조 38) 신대우(申大羽)는, 다섯째 고모가 남편 이익준(李翼俊)이 을해사옥으로 유배되자 자결하게 되는 과정을 「이오고술(李五姑述)」로 기록하였다.

■ [집필자] 심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