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하선연(下船宴)

서지사항
항목명하선연(下船宴)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동래부사(東萊府使), 봉진연(封進宴), 부산첨사(釜山僉使), 상선연(上船宴), 숙배례(肅拜禮), 연대청(宴大廳), 연례송사(年例送使), 연향대청(宴享大廳), 접위관(接慰官), 차왜(差倭), 하선다례(下船茶禮)
분야정치
유형의식 행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일본 사신이 입국한 것을 축하하기 위하여 마련된 연회.

[내용]
조선후기에 일본 사신이 오면 부산왜관의 연향대청(宴享大廳)에서 상견례적인 하선다례(下船茶禮), 초량객사에서 조선 왕의 전패(殿牌)에 대한 숙배례(肅排禮), 예물 봉진의례가 실시되었다. 그 후 연향대청에서 정식 연회인 하선연(下船宴)이 이루어졌다. 연례송사(年例送使)는 동래부사와 부산첨사가, 대·소차왜(差倭)는 경·향접위관이 연회를 주관하였다.

[용례]
大小差倭之出來 先行下船宴 以慰遠來 則倭人卽來草梁 肅拜殿牌 封進方物 仍行下船宴 留館限滿後 又行上船宴而歸 乃是接倭恒規[『숙종실록』 44년 1월 19일]

[참고문헌]
■ 『통문관지(通文館志)』
■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 [집필자] 김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