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팽배(彭排)

서지사항
항목명팽배(彭排)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호분위(虎賁衛)
관련어방패(防牌), 오위(五衛)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초기 중앙군인 호분위(虎賁衛)에 속한 병종의 하나.

[내용]
팽배는 원래 방어용 무기인 ‘방패(防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1415년(태종 15) 만들어진 방패라는 병종이 뒤에 개칭된 것이다. 이들은 방패를 전문으로 사용하면서 적을 방어한다. 이들은 선봉에 서는 정예 병사로서 그 뒤에 창검이나 총과 활로 무장한 일반 병졸들이 따르게 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군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병종이었다. 그 대우 역시 세종 초반까지 후하였으나 이후 점차 각종 잡역에 동원되면서 세조대에는 역군(役軍)으로 파악되기에 이르렀다. 세조대 오위 체제가 정비되면서 호분위에 소속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팽배는 달리기[走]와 힘쓰기[力]로 시험하는데 총원 5천 명이 5교대에 따라 4개월씩 근무하며 1보(保)를 지급받고 종8품 이하의 잡직체아(雜職遞兒)를 받았다. 대졸(隊卒)과 함께 천인들이 주로 입속하였다.

[용례]
麟趾等作事目 一 當番正兵 或番上京中 或自於其道近鎭留防 苦歇不均 番上留防 節度使 臨時任意施行未便 自今 令兵曹 正兵諸旅字號成籍 每當番 某旅番上某旅留防某鎭 預先啓達行移 辨其久近 輪次留防 周而復始 以均勞逸 一 不得已有工役之事 彭排隊卒 爲先役使 步正兵 一朔相遞役使 從之[『예종실록』 1년 7월 26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민현구,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79.

■ [집필자] 노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