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통주(統主)

서지사항
항목명통주(統主)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이정(里正)
하위어호수(戶首)
동의어통수(統首)
관련어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인보법(隣保法), 호적(戶籍)
분야사회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호적 제도상 오가작통법의 기본 단위인 통의 책임자.

[개설]
조선시대는 호적 제도를 보조하는 방법으로 호적을 새로 작성할 때 다섯 집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을 시행했는데, 기본 편성 단위를 ‘통(統)’이라 하였다. 또한 각 통에는 5가(家=戶) 가운데 1명을 뽑아 통주로 삼아 그로 하여금 통 내의 호구(戶口) 동태를 파악하여 상급 편성 단위의 대표에게 보고하도록 하였다[『성종실록』 21년 윤9월 5일]. 그런데 통주는 통 내에 호적에서 빠진 호구가 있거나 몰래 잠입한 자를 묵인할 경우 연대 처벌을 받는 등 그 소임이 과중하여 양인 이상의 신분이 통주 직을 맡는 것을 기피하였고, 노비가 대신 통주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담당 직무]
통주의 직무는 통 내의 호구 동태를 파악하여 상급 단위의 대표에게 보고하는 것이었다. 한편 조선후기에 들어와 통주가 통 내의 천주교도를 색출하는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변천]
조선후기에 통주를 ‘통수(統首)’로 고쳐 불렀으나 그 역할 및 내용은 조선전기와 크게 변하지 않았다[『숙종실록』 1년 9월 26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최홍기, 『한국 호적 제도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신정희, 「오가작통법 소고」, 『대구사학』12·13, 1977.
■ 오영교, 「19세기 사회변동과 오가작통제의 전개 과정」, 『학림』12·13, 1991.
■ 임학성, 「조선후기 호적대장에 보이는 사노비의 이중 등재상에 대하여」, 『고문서연구』3, 1992.

■ [집필자] 임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