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침향산(沈香山)

서지사항
항목명침향산(沈香山)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산대(山臺)
동의어산거(山車), 예산대(曳山臺), 침향산붕(沈香山棚)
관련어무대(舞臺), 백학(白鶴), 산거(山車), 연화대(蓮花臺), 예산대(曳山臺), 정재(呈才), 청학(靑鶴), 침향산붕(沈香山棚), 향산(香山), 향악정재(鄕樂呈才)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에 궁 밖에서 정재(呈才)를 공연하기 위해 산 모양으로 꾸민 가설무대.

[개설]
침향산(沈香山)은 궁 밖의 거리에서 정재를 공연하기 위해 만든 가설무대를 말한다. 향산(香山)·산거(山車)·예산대(曳山臺)·침향산붕(沈香山棚)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침향산에는 2개의 연꽃 봉오리가 있어서, 학춤을 추던 학이 연꽃을 쪼면 여자아이[童妓]가 나와 연화대무(蓮花臺舞)를 추었다.

[연원 및 변천]
침향산은 주로 환궁 의례 때 쓰였다. 세종 때에는 소헌왕후 심씨가 온천에 갔다가 돌아올 때, 교방(敎坊)에서 가요를 아뢰는 기생이 침향산 무대를 끌면서 진행했다[『세종실록』 22년 4월 6일]. 또 왕이 신주를 종묘에 부묘(祔廟)하거나, 선농제를 지내고 적전(籍田)을 간 뒤 환궁할 때도 침향산을 만들어 정재를 공연하였다.

광해군은 나례(儺禮) 때 사용한 침향산을 잘 보관하도록 지시했고[『광해군일기』 7년 8월 29일], 침향산의 틈이 많이 벌어지고 퇴색되었다는 이유로 보수하도록 명하기도 하였다[『광해군일기』 8년 5월 1일]. 그러나 인조가 민력을 허비한다는 이유를 들어 침향산을 태워 없애도록 한 뒤에는 더 이상 쓰이지 않았다[『인조실록』 1년 3월 25일].

[형태]
침향산의 형태는 성종 때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나무판자로 산 형상을 만들고, 전면과 후면에는 피나무[椵木]로 봉우리와 후미진 골을 조각해 붙인다. 또 절·탑·승려·사슴 등 여러 모형을 만들어 넣은 뒤에 모두 채색한다. 앞쪽에는 연못과 난간을 설치하고, 좌우에는 꽃병을 놓고 비단으로 만든 온 떨기의 모란꽃을 꽂는다. 침향산 안에는 큰 연화통을 설치하고, 지당판 아래에는 수레바퀴를 붙여 끌게 한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고려시대에는 불교를 숭상하여 ‘등(燈)’과 결합한 ‘등산(燈山)’을 선호했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불교적인 색채가 없는 봉래산을 상징하는 산대를 축조하였는데, 침향산도 그 일환이었다.

[참고문헌]
■ 『악학궤범(樂學軌範)』
■ 국립국악원,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김은영, 「한국의 국왕 행차와 전통연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집필자] 조경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