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칙사(勅使)

서지사항
항목명칙사(勅使)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영칙서의(迎勅書儀), 조사(詔使), 청사(淸使), 청사(淸使), 칙서(勅書)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중국 사신 가운데 칙명을 받들거나 칙서(勅書)를 지참한 사신.

[개설]
칙사는 파견된 빈도가 가장 많았던 사신으로 대부분의 조·중 외교 사건에 관련된 업무를 다루었으며, 중국의 외교적 입장을 조선에 전달하는 통로였다. 명·청대 용어의 변화 과정을 통하여 조선의 반청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및 변천]
중국의 황제명령은 ‘제(制)’·‘조(詔)’·‘고(誥)’·‘칙(勅)’·‘책(冊)’·‘제(祭)’·‘축(祝)’·‘유(諭)’·‘비(批)’·‘지(旨)’ 등이 있으며, 이를 문서 형식으로 필사하면 조서, 고명, 칙서, 책문 등 황제문서가 된다. 이 중 칙서는 조·중 관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전달되었으며 내용이 구체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황제명령으로서 ‘칙(勅)’은 ‘칙유(勅諭)’·‘칙명(勅命)’·‘칙서(勅書)’로 구분되는데, 칙유는 황제가 특정한 문제에 대하여 특정 지역의 인민에게 내려 주는 유시(諭示)를 말하고, 6품 이하의 관원을 임명할 때는 칙명을 사용하였으며, 칙서는 중요 관원의 직책, 권한, 규정 등을 밝힌 것을 말하였다. 이러한 황제명령으로서 칙유, 칙명, 칙서를 받든 사신을 통칭하여 칙사라고도 하였다.

황제문서로서 칙서는 조서보다 낮은 등급이었다. 물론 중국 사신으로 황제의 명령을 전달하는 점에서 중요한 사신들이었지만, 조서를 지참한 조사보다 칙서를 지참한 칙사는 상대적으로 조사보다 낮은 등급으로 대우받았다. 또한 시기별 차이도 있어 조·명 관계에서 칙사와 조사는 명확하게 구분하였지만, 조·청 관계에서 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조사와 칙사를 구분하지 않고, 칙사로 통칭하는 경향이 있었다.

명나라는 황제명령을 받드는 사신 자체를 높여 인식하였지만, 실제 파견되는 칙사로 파견되는 사신은 대부분 환관들이었다. 이들은 조선에 파견되어 많은 폐단을 일으켰다. 반면에 청나라는 건국초 칙사의 폐단을 근절하려고 칙사로 파견되는 사신을 팔기로 임명하는 등 중요 인물을 활용하였다. 또한 칙사는 황제문서를 근거로 조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조선에서 사적인 치부(致富)를 강요하여 외교적 문제로 비화되기도 하였으며, 명대의 경우, 조선에 파견된 환관사신의 대부분이 칙사였으며, 이들은 치부 행위, 뇌물 요구, 친인척 벼슬 요구 등으로 조선에 외교적 부담을 주었다.

1. 칙사의 사신 접대

칙사는 칙서를 포함한 황제명령 전반을 조선에 전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칙사에 대한 접대는 조선의 입장에서 대중국 외교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특히, 명·청대 중국의 통치 체계가 문서 중심의 일원적인 행정 체제이므로 조선의 외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에서의 외교 활동은 많은 제약을 받았다. 이에 비하여 중국 사신이 조선에 오는 경우는 조선의 외교 목적을 전달하기 쉽고, 사신을 대상으로 활발한 외교 활동을 전개하기 수월하였다. 이때, 칙사는 사행 빈도가 가장 많았기 때문에 주 대상이었다. 조사와 마찬가지로 파견 소식이 전해지면, 영접도감을 설치하여 접대하였다. 황제문서는 중국에서 조서를 반포하는 의식과 조선에서 조서를 맞이하는 의식도 엄격하게 규정화되어 있었다. 조선은 명대 의례를 준용하여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영칙서의(迎勅書儀)”를 별도로 규정하여 칙서의 접수를 중시하였다.

2. 명·청대 칙사의 명칭 변화

황제문서로서 조서와 칙서는 등급에서 차이를 가졌다. 최고 등급의 황제문서였던 조서를 지참한 조사라는 용어 자체가 조선시대 존대의 의미로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명 관계에서는 조사와 칙사를 명확하게 구분할 뿐만 아니라 칙사마저 ‘천사(天使)’·‘명사(明使)’ 등으로 통칭하였지만, 청대에는 조사를 포함한 모든 사신을 칙사로 통칭하였다. 이는 조선의 반청 인식이 반영된 용어이며, 또 한편으로 칙사보다 더 낮추어 ‘청사(淸使)’로 부르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대청회전(大淸會典)』
■ 『동문휘고(同文彙考)』
■ 김경록, 「명대 공문제도와 행이체계」, 『명청사연구』 26, 2006.
■ 김경록, 「조선시대 사신접대와 영접도감」, 『한국학보』 117, 2004.
■ 김경록, 「조선후기 사대문서의 종류와 성격」, 『한국문화』 35, 2005.

■ [집필자] 김경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