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치어(致語)

서지사항
항목명치어(致語)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치사(致詞)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잔치 자리에서 전악(典樂) 등이 주빈(主賓)에게 올리는 송축사.

[내용]
치어(致語)는 치사(致詞)라고도 하며, 송축의 글답게 문장이 화려하고 아름답다. 『태종실록』에 당·송대에 조관(朝官) 반수(班首)가 치어를 쓰되 표문(表文)은 쓰지 않았다고 한 것으로 보아 표문과 비슷한 문체임을 알 수 있다.

[용례]
王母小進 樂止 致語曰 聖澤 慰朝廷使臣也 慰使臣 所以欽上德也 殿下事大以誠 帝用嘉之 特遣使臣 國人歡忻 作是歌焉 訖 樂奏嗺子令 王母退復位 樂止[『세종실록』 10년 5월 26일]

■ [집필자] 배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