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취고수(吹鼓手)

서지사항
항목명취고수(吹鼓手)
용어구분전문주석
하위어겸내취(兼內吹), 원내취(元內吹), 황내취(黃內吹), 흑내취(黑內吹)
동의어고취(鼓吹), 취라치[吹螺赤], 취수(吹手), 취타수(吹打手)
관련어세악수(細樂手)
분야문화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후기 군영(軍營)에 소속되어 왕이나 고관대작의 행차 때 악기를 연주하던 군인.

[개설]
취고수(吹鼓手)는 조선후기 중앙과 지방의 군영에 소속되어 왕의 어가(御駕) 행렬이나 고관대작의 행차 때 악기를 연주하는 일을 맡아보던 군인을 말한다[『인조실록』 13년 10월 18일]. 취고수는 취타수(吹打手) 또는 세악수(細樂手)·취수(吹手)·고수(鼓手)라고도 불렀는데, 취고수는 행렬의 앞에 서는 악대를, 세악수는 행렬의 뒤에 서는 악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별하여 부르기도 하였다.

한편, 이들은 연주하는 악기에 구별이 있기도 했는데 취고수는 대부분 자바라[啫哱囉]·징·북 등의 타악기를 연주하고, 세악수는 대금·피리·해금·장구 등의 선율 악기를 연주하였다. 또한 취고수는 서울에 등록된 군사를 황내취(黃內吹)·원내취(元內吹)라 하였고, 지방에서 뽑아 올린 군사를 흑내취(黑內吹)·겸내취(兼內吹)라 하였다[『정조실록』 14년 7월 26일].

[담당 직무]
취고수의 담당 직무는 왕이나 고관대작이 행차할 때 앞뒤에 배치되어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었으나, 궁궐과 도성의 입직(入直) 때 지휘와 통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중앙의 오군영(五軍營)이나 지방의 병영(兵營), 감영(監營) 등의 공식적인 잔치에도 동원되어 음악을 연주하였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송방송, 『(증보) 한국 음악 통사』, 민속원, 2007.
■ 이숙희, 『조선 후기 군영 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 태학사, 2007.
■ 장사훈, 『한국 음악사』, 정음사, 1976.

■ [집필자] 임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