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촉천화(觸天火)

서지사항
항목명촉천화(觸天火)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고려(高麗), 화통도감(火㷁都監), 최무선(崔茂宣), 직상화(直上火), 주화(走火), 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 유화(流火)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고려시대의 화약을 사용한 병기로,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생명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

[개설]
촉천화(觸天火)는 고려 말부터 사용한 화약 병기로서,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이나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이다. 같은 분사식 무기로 주화·화전·천산오룡전·유화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1377년(고려 우왕 3) 최무선의 건의로 화약 병기를 생산하는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이 화통도감에서 촉천화 등 18종의 각종 화기와 발사물을 만들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화약 및 화기 제작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촉천화는 ‘하늘과 부딪치는 불’이라는 이름의 뜻으로 보아 분사 추진식 화약 무기로 볼 수 있다. 하늘과 부딪쳤다는 표현의 실례는 이색(李穡)이 연등놀이에서 쏘아 올리는 폭죽이 하늘을 나는 것을 보고 시집 『목은집(牧隱集)』권23에서 쓴 “불은 폭포처럼 하늘과 부딪친다. 흡사 빠른 번개 같기도 하여라.”라는 시가 있다. 또 세조 때에는 연등놀이를 기록하면서 백양봉 마루에 직상화(直上火)를 설치하고 저녁때에 동시에 발진시키니 불이 하늘과 부딪쳤다고 하였다[『세조실록』 10년 1월 4일]. 이상의 기록에서 하늘과 부딪쳤다는 직상화는 물론 분사식 폭죽이며, 촉천화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고려에는 촉천화 외에도 천산오룡전·주화·화전·유화 등의 분사식 무기가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이들 화기가 신기전(神機箭)으로 발전되어 널리 활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촉천화는 문헌 기록에 이름만 나올 뿐 그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 다만 그 이름에서 형태를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다. 다만 중국의 예로 볼 때 촉천화는 초기 로켓 무기의 개량형으로, 대나무로 만들고 주변을 종이로 감싸서 강화한 형태였다. 중국 전쟁사에는 ‘마술의 불을 뿜는 까마귀’로 불린 4개의 로켓으로 추진력을 얻는 큰 촉천화와 ‘유령 오리’로 불린 2개의 로켓만 사용하는 작은 촉천화의 2가지 종류가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 촉천화는 적진에 날아가 폭발하여 적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심리적 충격을 주는 효과도 상당히 컸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목은집(牧隱集)』
■ 김기웅 외, 『한국무기발달사』, 국방군사연구소, 1995.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박재광, 『화염 조선-전통 비밀 병기의 과학적 재발견』, 글항아리, 2009.
■ 박재광 외,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 경인문화사, 2008.
■ 이강칠, 『한국의 화포』, 동재, 2004.
■ 채연석, 『한국초기화기연구』, 일지사, 1981.

■ [집필자] 박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