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초금(草琴)

서지사항
항목명초금(草琴)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피리, 악기(樂器)
관련어구금(口琴), 초적(草笛), 풀잎피리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나무 잎사귀로 만든 피리.

[내용]
초금(草琴)은 초적(草笛)처럼 식물의 잎사귀를 입에 물고 입으로 바람을 불어 잎을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것으로, 구금(口琴)과 비견된다. 즉 구금의 경우 활 모양의 기구를 입에 넣고 손으로 줄을 퉁기면 구강이 공명통이 되어 음률을 만들어내는 데 비해, 초금은 잎사귀를 입에 물고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여 음률을 만들며, 사람의 신체를 공명통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용례]
傳曰 前後揀擇人疏族外 各其母兄弟勿令竝入 且運平樂中 能草琴者 如壯元枝耐寒梅及改名人某 (諱不擧名) 竝擇以入[『연산군일기』 11년 1월 16일]

■ [집필자] 배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