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초계(抄啓)

서지사항
항목명초계(抄啓)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초계문신(抄啓文臣)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특정 사안에 대한 결과를 가려 뽑아 왕에게 보고하는 것 또는 보고 문서.

[내용]
조선시대 계(啓)를 받는 대상은 왕이었다. 따라서 초계(抄啓) 또한 왕에게 보고된 사항이나 문서라는 맥락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다양한 형태의 초계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 어떤 일의 결과에 대한 수효(數爻)나 인원을 뽑아서 그 현황을 보고하는 것이다. 이 외에 정조대에 시행한 초계문신(抄啓文臣) 제도도 젊은 당하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거친 뒤 우수한 성적을 거둔 인재를 뽑아 왕에게 보고하는 절차를 거쳤다는 점에서 초계의 의미에 부합한다.

[용례]
命擇文臣謹密者 令習天文及算 承政院抄啓崔溥朴增榮權五福金勘姜渾柳崇祖李世仁鄭鵬李顆鄭汝昌[『성종실록』 23년 10월 18일]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법제처, 『古法典用語集』, 법제처, 1979.

■ [집필자] 박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