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내용]
임진왜란 기간 중 명나라의 척계광(戚繼光)이 개발한 새로운 전술 체계인 절강병법(浙江兵法)이 소개되면서 군사 편제도 함께 도입되었다. 절강병법의 군사 편제는 대장(大將) 아래 5개 영(營)이 있고 영장(營將)이 지휘하였다. 영 아래에는 각각 다섯 개의 사(司)를 두고 파총(把摠)이 통솔하도록 하였다. 사 아래에는 5개의 초(哨)가 있었고 지휘관으로 초관(哨官)을 두었다. 초 아래에는 3개 기(旗)를 두었고 기총(旗總)이 지휘하였고 기 아래에는 대장(隊長)과 화병(火兵), 그리고 군사 10명 등 모두 12명으로 편성된 3개 대(隊)를 두었다. 『기효신서』에 의하면 사 휘하의 5개 초 중에서 4개 초는 살수(殺手)로 편성하고 1개 초는 조총병인 포수(砲手)로 편성하도록 하였으나 조선에서는 포수의 비중이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