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첩운(疊韻)

서지사항
항목명첩운(疊韻)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연선자(連線字)
관련어쌍성(雙聲), 반절(反切)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중국어에서 운모가 서로 같은 두 글자로 이루어진 낱말.

[개설]
첩운(疊韻)은 하나의 단어가 한 음절로 이루어지는 중국어의 단음절적 특성에서 벗어나 두 음절 이상이 한 단어를 이룰 때, 각 음절의 운모(聲母)가 같은 경우를 일컫는다. 의미보다는 소리가 강조되는 특수한 용법으로, 고대 중국어에서는 특히 시(詩)에서 많이 나타난다. 성모(聲母)가 같은 두 글자로 이루어진 쌍성(雙聲)과 함께 고대부터 운문(韻文)의 음률(音律)을 유지하는 압운(押韻)과 연관되며, 이후 반절(反切) 표음법(表音法)의 일환으로 발전하였다.

[내용 및 특징]
중국어는 유형적으로 단음절어, 즉 단음절형태소어(單音節形態素語)라는 특징이 있는데, 하나의 단어는 한 음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이 유형의 예외에 해당하는 2음절 낱말들이 존재하는데, 그 쓰임에 따라 첩자(疊字)·쌍성·첩운 등으로 구분한다. 동일한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첩자, 동일한 성모로 이루어진 단어를 쌍성, 동일한 운모로 이루어진 단어를 첩운이라고 한다. 특히 첩운은 중국어에서 한 음절을 이분법적으로 분석하는 반절의 선행 이론 역할을 했다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성모와 운모의 가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학습해야 할 과제였다.

첩자의 예는 ‘관관(關關)’이 있다. ‘관관[kwran kwran]’은 ‘닫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합쳐진 첩자로, 똑같은 글자가 이어진 소위 연선자(連線字)에 해당한다. 두 글자가 같으므로 당연히 성과 운도 같다. 원래 의미와는 상관없이 ‘물수리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로 사용되는데, 표의문자인 한자어가 필요에 따라 표음문자로 바뀐 예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날에도 외래어의 음역(音譯) 표기에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쌍성의 예로는 ‘참차(參差)[tsʻəm tsʻrar]’, ‘전전(輾轉)[trjan trjuan]’ 등이 있다. 성모가 같은 경우이다. 첩운의 예로는 ‘요조(窈窕)’가 있다. ‘요조’의 경우 상고음(上古音)으로는 [iəgw diəgw]로 발음되므로, [-iəgw]라는 운모를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첩운에 해당한다. 첩운과 쌍성 등은 특히 『시경(詩經)』을 비롯한 고대 시가(詩歌)에서 흔히 보이는 수사법의 일종으로, 시적 감각을 바탕으로 생성된 2음절 낱말 곧 연선자에서 나타난다.

한자는 일반적으로 한 글자가 형태[形], 소리[聲], 뜻[義]의 3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다. 그런데 첩운 혹은 쌍성을 이루는 과정에서는 소리만이 중시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실제 합쳐지는 두 글자는 의미에 상관없이 소리의 동일성만으로 구성되는 예가 많다. 가령 첩운에 해당하는 ‘정녕(叮嚀)’은 ‘세심한 배려’라는 뜻으로, ‘정(叮)’과 ‘녕(嚀)’의 원래 뜻과는 전혀 무관한 의미를 나타낸다.

첩운과 쌍성은 중국 한자의 일반성에서 벗어나 두 글자가 한 단어를 이루는 예외적인 경우로, 인명을 비롯해 초(草)·목(木)·충(蟲)·어(魚), 조수(鳥獸) 등 각종 명칭을 표기하는 데 널리 쓰였다. 고초(苦楚), 광망(光芒), 간난(艱難), 교묘(巧妙), 부유(浮游), 창망(蒼茫), 포도(葡萄) 등이 이러한 첩운에 속한다.

첩운과 쌍성 등은 대개 필요에 의해 조성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주 변하는 어휘였으므로, 성운(聲韻)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연구 없이는 과거의 용례를 이해하기 어려웠다. 조선 세종 때 중국어를 잘하는 김하(金何)라는 신하가 ‘쌍성첩운’에 대한 세종의 질문에 제대로 알지 못하고 답을 했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를 살펴보면, 2음절 첩어와 관련한 이론은 당시 한학자들에게조차 쉽지 않은 주제였음을 알 수 있다[『세종실록』 32년 1월 29일].

[참고문헌]
■ 최영애, 『중국어란 무엇인가』, 통나무, 1998.
■ 임동석, 「表音 機能 漢字에 대한 硏究」, 『中國學報』35, 1995.
■ 임동석, 「漢語 雙聲·疊韻 硏究」, 『건대학술지』40, 1996.

■ [집필자] 최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