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첩보(牒報)

서지사항
항목명첩보(牒報)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첩정(牒呈)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공문서의 일종인 첩정(牒呈)으로 보고함

[내용]
첩정과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첩정은 하급 관청 또는 관원이 상급 관청 또는 관원에게 어떠한 사항을 보고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치보(馳報), 상고(相考), 상송(上送) 등의 목적으로 발급되었다. 첩정의 서식은 『경국대전』에 실려있으며, 이후에는 비교적 더 자세한 서식이 『전율통보(典律通補)』에 실려있다.

[용례]
兵曹據全羅道都觀察使牒報 上區處濟州人事宜 濟州各司奴婢及軍丁等 因興利船逃亡出陸 自今京中人則漢城府外方人則所居官 許令行狀成給 違者論罪 濟州人無本州行狀者亦論罪 皆令還本 且倭賊隱泊楸子島 窺覘諸島 或害往來之船 公私船依兵船例 嚴備軍器衣甲 卒遇倭賊 對敵避害 從之[『태종실록』 17년 7월 8일]

[참고문헌]
■ 이수건 외, 『16세기 한국 고문서 연구』, 아카넷, 2004.
■ 崔承熙, 『(증보판)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 [집필자] 김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