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천은(天銀)

서지사항
항목명천은(天銀)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십성은(十成銀), 십품은(十品銀), 순은(純銀), 정은(正銀)
관련어지은(地銀), 현은(玄銀), 황은(黃銀)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순도가 100%인 은 혹은 은화.

[내용]
순도가 100%인 은을 십성은(十成銀) 또는 천은(天銀)이라고 한다. 『만기요람(萬機要覽)』에서는 호조에서 사용하는 은을 순도 100%의 천은, 순도 90%의 지은(地銀), 순도 80%의 현은(玄銀), 순도 70%의 황은(黃銀)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천은은 어용(御用)의 기명(器皿)에만 사용하고, 일반적인 경비 지출에는 현은과 황은을 사용하였다. 또한 천은은 연행사(燕行使)가 중국 북경에서 무역할 때 결제하는 수단이기도 해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은은 물론이고, 일본에서 수입된 순도 80% 이하의 은도 모두 천은으로 제련하여 중국에 가지고 갔다.

[용례]
國中所産 無論天銀地銀 若限以八星爲贈遺 則勑行決不以此非丁銀名色 有所點退 如是區處 似合便順[『정조실록』 19년 11월 6일]

[참고문헌]
■ 『만기요람(萬機要覽)』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집필자] 김동철